귀금속 공예는 단순히 금속을 녹이고 붙이는 과정이 아니라, 정밀한 공정과 섬세한 손기술이 결합된 예술적 작업이다. 주얼리 한 점이 완성되기까지는 다양한 가공 단계가 필요하며, 각각의 공정에는 정교한 도구와 숙련된 기술이 사용된다. 이번 글에서는 귀금속 공예에서 기본이 되는 가공 기법과 도구들을 소개한다.
1. 절단(Cutting)
금속 판재나 와이어를 원하는 형태로 잘라내는 과정이다. 주로 가위나 전단기를 사용하며, 펜던트의 외형 제작이나 피어싱 장식 제작 등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2. 톱질(Sawing)
정교한 곡선이나 도안, 내부 구멍을 절단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세공용 주얼리 톱을 이용해 복잡한 문양을 정밀하게 절단한다. 특히 0.6mm 이상의 두께를 가진 금속 판재 작업에 적합하다.

3. 줄질(Filing)
절단된 금속의 모서리를 다듬어 형태를 정리하는 단계다. 플랫, 라운드, 하프라운드 등 다양한 형태의 줄을 사용하여 세밀하게 면을 다듬는다. 주얼리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과정이다.

세공 줄의 종류
| 종류 | 길이(mm) | 형태 |
|---|---|---|
| 5분조 | 215 | 평, 반원, 원, 사각, 삼각 |
| 본조 | 200 | 5분조와 사다리꼴, 타원 |
| 10분조 | 185 | 7분조와 복원, 칼날, 부채 |
| 12분조 | 170 | 10분조와 양 반원, 조개형 |
4. 압연(Rolling)
금속의 두께를 얇게 만들거나 표면 질감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롤링 밀(압연기)을 통해 판재나 무늬를 균일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5. 성형(Forming)
금속을 망치나 맬렛으로 두드려 곡선과 곡륙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드로잉(Drawing)은 금속 와이어를 늘려 세밀한 선을 만드는 방식이고,
도밍(Doming)은 금속판을 반구 형태로 성형하는 작업입니다.
또한 벤딩(Bending)은 금속을 각지게 구부리는 공정입니다.

6. 땜질(Soldering)
땜질은 금속 부품끼리 열과 땜을 이용해 결합하는 과정입니다.
주로 토치와 플럭스를 사용하며,
귀금속 세공의 가장 핵심적인 결합 기술 중 하나입니다.

7. 표면 질감 처리(Texturing)
금속 표면에 다양한 무늬와 질감을 내는 작업입니다.
망치로 두드려 질감을 만드는 해머링(Hammering),
도안을 찍어내는 스탬핑(Stamping),
화학약품을 이용한 에칭(Etching) 기법이 대표적입니다
8. 천공(Drilling)
드릴을 이용해 금속에 구멍을 뚫는 과정으로,
땜질이나 체결 작업 전 준비 단계로 사용됩니다.
핸드 드릴이나 전동 드릴, 드릴 비트를 사용합니다.

9. 연마 및 광택(Finishing)
연마는 사포나 고무줄로 표면을 정리하는 과정이며,
광택은 버프를 사용해 반짝이는 표면으로 마무리합니다.
마지막 단계로 제품의 품질과 완성도를 결정짓는 핵심 공정입니다.

10. 기타 세공(Decoration)
장식 효과를 위한 고급 세공 기법으로는
인레이(Inlay), 그래뉼레이션(Granulation), 체이싱(Chasing)이 있습니다.
- 인레이는 다른 금속이나 재료를 끼워 넣는 방식
- 그래뉼레이션은 미세한 금속 구슬을 표면에 부착하는 장식법
- 체이싱은 금속을 두드려 부풀리거나 눌러 문양을 만드는 기법입니다.
11. 부가적 가공 기법
마감 단계에서는 도금, 산처리, 열풀림 과정이 포함됩니다.
- 도금: 금·은·흑니켈 등의 금속을 얇게 입혀 색감과 내구성 향상
- 산처리: 땜질 후 산화물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세척
- 열풀림: 금속의 경도를 낮춰 가공성을 높이는 열처리 과정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하나의 귀금속 제품이 완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