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장 귀금속 표면처리 (상편)

귀금속 표면처리는 단순한 광택 유지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세공 과정에서 금속 표면은 열, 산화, 오염 등으로 손상되기 때문에
마지막 단계에서 이를 복원하고 내구성을 높이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장에서는 금속의 [연마·세척·착색]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1. 연마(Polishing)의 종류

연마는 금속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 빛 반사를 극대화하는 과정입니다.
작업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1) 전해 연마(Electro Polishing)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금속을 전기도금의 반대 작용을 통해
표면을 매끄럽게 만드는 방식입니다.

  • 표면 광택을 높이고 변질이 적음
  • 판금, 바늘, 주사바늘 등 정밀 제품에 자주 사용
  • 귀금속 공예품에서도 반사율과 광택 개선에 탁월

(2) 보잉(스트리핑) 연마

82℃ 이하의 따뜻한 물에 시안화나트륨(NaCN)과 과산화수소를 혼합해
금속 표면을 부드럽게 벗겨내는 화학적 연마법입니다.

(3) 배럴 연마

진동 또는 회전하는 배럴 속에서 금속과 연마재가 함께 움직이며
표면을 고르게 다듬는 방식입니다.
대량 생산 제품이나 구슬, 체인류 연마에 적합합니다.

(4) 래핑 연마

버프 연마 이전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연마제를 램프나 천에 묻혀 표면의 거친 결을 제거합니다.

(5) 버프 연마

가장 일반적인 연마법으로, 회전 버프(천 또는 가죽)에 연마제를 묻혀
고속 회전시켜 표면을 광택 처리합니다.
세공의 마지막 단계에서 반짝이는 금속 광을 표현할 때 필수입니다.

(6) 샌드 블라스트

거친 표면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고운 모래 입자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방식입니다.
무광 또는 매트한 질감을 낼 때 사용됩니다.

2. 금속의 산세척 (Pickling)

연마 후 금속 표면에는 땜, 산화막, 불순물이 남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는 세척 과정이 필요합니다.

  • 귀금속은 주로 황산 : 물 = 1:10 비율의 희석액을 사용
  • 물에 황산을 섞을 때는 반드시 황산을 “조금씩” 첨가해야 폭발을 방지할 수 있음
  • 산세척 용기는 비이커나 슬로우 쿠커 등을 활용해 천천히 가열

이 단계에서 세공품의 색이 살아나며, 도금이나 착색 전에 표면이 완벽히 정리됩니다.

3. 금속의 착색

귀금속의 색상은 합금 비율과 산화 반응에 따라 달라집니다.
특히 은의 경우 황화수소나 염소 화합물과 반응해 자연스럽게 변색되기도 합니다.

  • 은의 착색 원리: 표면 산화 → 고착된 색 변화 → 내부 내열성 강화
  • 황화 착색법: 따뜻한 물에 황화칼륨을 풀어 표면을 검게 처리
    (빈티지, 앤틱한 효과를 낼 때 사용)

이 과정은 단순한 색상 변화가 아니라
금속의 산화 방지와 내구성까지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요약]

구분주요 목적특징
전해연마광택 강화전기화학적 방식, 매끄러운 표면
배럴연마대량 연마진동·회전으로 균일 처리
버프연마최종 광택가죽·천 버프로 고속 회전
산세척불순물 제거황산 1:10 희석, 산화막 제거
착색색상 변화황화반응으로 내구성 강화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