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장 귀금속 표면처리 (하편)

상편에서 표면 정리와 착색 과정을 살펴보았다면,
이번 하편에서는 도금(Plating)표면 관리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는 제품의 색상, 내구성, 알레르기 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공정입니다.

상편에서 표면 정리와 착색 과정을 살펴보았다면,
이번 하편에서는 도금(Plating)표면 관리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는 제품의 색상, 내구성, 알레르기 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공정입니다.

2. 도금 공정 순서 (전기 도금 기준)

세척 (Cleaning) – 기름, 산화막 제거
활성화 (Activation) – 산세척 등으로 금속 표면 활성화
도금 (Plating) – 전류를 흘려 금속 이온을 표면에 부착
헹굼 (Rinsing) – 잔류 용액 제거
건조 (Drying) – 손상 없이 완전 건조

3. 도금 두께 기준

용도권장 두께
액세서리(저가)0.1~0.5μm
패션주얼리0.5~2μm
고급 주얼리2.5μm 이상
Gold Plated 표기 기준(미국 FTC)2.5μm 이상

4. 도금의 장단점

장점단점
외관 향상 (광택·색상 강화)시간이 지나면 마모·변색 가능
비용 절감 (실금도보다 저렴)두께 얇으면 쉽게 벗겨짐
내식성 향상니켈의 경우 알레르기 유발 가능

5. 관리 요령

  • 땀, 향수, 화장품과의 접촉을 피한다.
  • 사용 후 부드러운 천으로 닦고 밀폐 보관한다.
  • 니켈 도금 제품은 장시간 착용 시 피부 트러블 주의.

6. 표면 처리 시 주의사항

  • 금속 세척제 및 도금용 약품은 인체에 유해하므로 반드시 전문 환기 설비 필요.
  • 어린이나 일반 사용자가 접근하지 않도록 보관.
  • 약품은 비이커나 유리그릇에만 보관하고, 금속 용기에 담지 않는다.

7. 산(Acid)의 종류

  • 황산(H₂SO₄): 무색의 액체, 탈산제나 금속 세척용으로 사용
  • 질산(HNO₃): 은의 순도 검사 및 산화막 제거용
  • 염산(HCl): 금속의 불순물 제거, 황산보다 강산성
  • 복산 혼합물: 황산 + 질산 혼합 시 강력한 세정 효과 발생

[요약]

구분주요 역할대표 재료
연마광택 향상버프, 샌드블라스트
세척불순물 제거황산, 질산
착색색상 조절황화칼륨
도금외관 및 내식성 강화금, 은, 로듐, 팔라듐
관리내구성 유지밀폐 보관, 건조 상태 유지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